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추석을 맞이하여 지자체별 생활안전 지원금 최대 100만원지급

by 돈 나무 2022. 8. 8.
반응형

코로나로 어렵고 어려운 시기 또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악몽의 시기가 다가올까 두려운 가운데 물가는 하늘 찌르듯 오르고 금리까지 오르는 이 현실 속에서 추석을 앞둔 많은 이들은 한숨이 먼저 나오기 바쁘지만 이번 추석을 앞두고 각 지자체별 생활 지원금을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을 준다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얼마 안 있으면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을 맞이하게 되는데요.

솟아오르는 물가에 추석을 앞두고 벌써 장바구니가 무겁기 시작합니다. 반찬거리 몇 가지 안 사도 10만 원이 흘쩍 넘어가는 송곳 같은 물가에 많은 서민들은 추석대비에 한숨만 나오게 됩니다.

고물가 대비 추석을 즐겁게 보내기 위해 각 지자체별 추석 생활지원금을 8월 8일부터 10만 원에서 최대 100만 원까지 지급하는 지자체별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하니 어느 지자체에서 어떻게 얼마나 주는지 간단히 알아보고 내가 살고 있는 지자체에서 지원이 된다면 신청을 하여 지원받으시기 바랍니다.

 

각 지자체별 생활안전 지원금 알아보기

  • 제주도 
    • 오프라인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기간은 8월 22일(월) ~ 9월 5일(월) 일까지 입니다.
    • 신청자는 세대주가 세대원 일괄신청이 가능하며 세대원 개별 신청도 가능합니다. 
    • 또한 대리인이 수령이 가능합니다.
    • 신청대상은 제주도민과 제주도에 거주하는 외국인 포함 신청 대상에 들어갑니다.
    • 내국인으로서는 주민등록 상 주소를 제주특별자치도에 둔 자에 한하며 외국인으로서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외국인등록 명단 등 주소를 둔 결혼이민자와 영주권자로 신청일 현재 국내 체류 중인 자에 한합니다.
    • 지원액수는 1인 10만 원씩 탐나는 전 카드로 지급됩니다.
    • 온라인 신청 방법 : 도 행정시 홈페이지 또는 지원금 지급(탐나는 전) 전용 홈페이지 앱으로 22년 8월 1일 ~22년 9월 30일까지,
    • 오프라인 신청 방법 : 주소지 읍면동 방문하시어 지원금 신청하여 수령하면 되며 8월 8일 ~9월 30일까지 신분증이나 대리인은 대리인 신분증, 위임장, 관계 증명서류 지참하시면 됩니다.
    • 고령자이시거나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경우에는 찾아가는 신청 운영하니 신청 요청을 하시면 됩니다.
  • 경기도 과천시
    • 과천시 재난 기본소득 지원 콜센터 (02-3677-2335, 2336
    • 지급대상 : 2022년 7월 8일 24시 기준으로 과천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내국인 및 외국인(결혼이민자, 영주권자)
    • 지급액 : 1인 10만 원 지급
    • 지급 방식 : 과천 토리 지역화폐 카드
    • 방문접수 : 주소지 관할주민센터 (신분증 지참)
    • 신청기간 : 2022년 8월 8일~8월 31일까지
    • 접수 시간 : 월 ~ 금요일 (9시부터 6시까지)
  • 강원도 속초시
    • 희망지원금으로 코로나 장기화로 속초경제를 살리고 시민들의 일상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명목으로 지원이 됩니다.
    • 지급대상 : 기준일 (22년 6월 30일) 속초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사람에 한함
    • 지급방법 : 1인당 20만 원 (계좌이체)
    • 지급기한 : 신청 접수 후 최대 5일 이내 지급
  • 강원도 원주시
    • 긴급재난지원금으로 추석 이후인 10월 1일에 지급합니다.
    • 지급대상 : 강원도 원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사람에 한함
    • 지급방법 : 모바일 지역사랑 상품권, 신용 체크카드 포인트, 선불카드로 지급
    • 지급액 : 1인당 10만 원 지급
  • 전라남도 광양시
    • 광양시 4차 긴급재난 생활비 지급 발표.
    • 지급대상 : 광양시 거주를 둔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사람
    • 지급액 : 1인당 30만 원, 만 19세 이하 40만 원 추가 지급하여 자녀가 있다면 총 70만 원 지급
    • 19세 이하는 광양사랑 상품권 55만 원 하고 온누리상품권 15만 원을 지급
  • 전라남도 영광군
    • 525억 원을 들여 영광군 주민들에게 100만 원을 파격적인 지급
    • 지급대상 2022년 6월 1일 기준으로 영광에 주소를 두고 있는 주민 모두에 해당.
    • 지급방법 : 영광사랑카드나 영광사랑 상품권으로 지급
    • 신청기간 : 8월 16일부터 신청을 받아서 9월 추석 전까지 지급 마무리할 계획
  • 전라남도 장성군
    • '일상 회복 지원금' 지급
    • 신청기간 2022년 8월 8일~9월 16일 / 6주간
    • 지원기준 : 22년 7. 1일 현재 장성군에 주민 등록된 내국인 외국인, 영주권자, 결혼이민자, 해외동포 거소신고자 등 포함
    • 지급금액 : 1인 30만 원
    • 지급방법 : 장성사랑 상품권(지류형)
    • 신청인 : 세대별 세대주가 세대원을 대표하여 일괄 신청 원칙이나 대리인이 신청도 가능
    • 신분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 꼭 지참 후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전라남도 신안군
    • 신청기간 : 22년 8월 8일 ~ 9월 23일
    • 지원 기준 : 모든 군민, 결혼이민자, 영주권자
    • 지급방법 : '1004 섬 신안 상품권'
    • 지급금액 : 1인당 10만 원
  • 전라남도 무안군
    • 신청기간 : 8월 17일부터 읍면사무소에서 신청
    • 지급금액 : 전군 민 1인당 20만 원
    • 지급방법 : 무안사랑 상품권
  • 전라남도 장흥군
    • 신청대상 : 5월 31일부터 현재까지 장흥군에 주소지를 둔 만 18세 이상의 군민
    • 지급금액 : 1인당 20만 원
    • 지급방법 : 정남진 장흥사랑 상품권
  •  전라북도 정읍시
    • 정읍시 일상 회복 지원금 지원
    • 지원대상 : 정읍시 전 시민
    • 지원기준 : 22. 6. 30일 기준 주민등록표상 정읍시 거주자
    • 지급금액 : 1인당 20만 원
    • 지급형태 : 무기명 선불카드
    • 신청기간 : 22. 8. 8일 ~ 9.2일 4주간이며 사용기간은 8.8일 ~ 11. 30일 4개월 동안 사용 가능
  • 전라북도 고창군
    • 전군 민 재난지원금 지급
    • 신청기간 8월 22일
    • 지원금액 : 1인당 10만 원씩 가구당 10만 원 추가 지급하여 3인 가구의 경우 40만 원 지급
  • 경상남도 사천시
    • 신청기간 : 8월 30일부터 9월 23일까지
    • 지원대상 : 22년 7월 31일 기준 사천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사천시민
    • 지원금액 : 1인당 30만 원 신청 즉시 지급
    • 지급방법 : 선불카드
    • 신청 방법 : 읍, 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신청
  • 경상남도 고성군
    • 코로나 상생 군민 지원금
    • 신청기간 : 8월 8일 ~ 9월 8일까지
    • 지원대상 : 고성군민 (외국인 재외군민 제외)
    • 지원기준 : 22년 7월 1일부터 현재까지 고성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고성군 군민
    • 지급금액 : 1인당 25만 원
    • 지급방법 : 고성사랑 상품권 (종이류)
    • 신청방법 : 고성군 읍면사무소 방문신청
  • 경상남도 거창군
    • 거창형 재난지원금
    • 신청기간 : 22년 8월 29일 ~ 9월 30일까지
    • 신청장소 : 읍, 면사무소
    • 지급대상 : 전 군민, 22년 7월 15일부터 현재까지 거창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군민
    • 제출서류 : 신청서, 신분증 지참
    • 지급방법 : 방문신청 즉시 '거창사랑카드'
    • 지급금액 : 1인당 10만 원 지급
  • 경상북도 경산시
    • 경산시 긴급재난지원금 
    • 지원대상 : 8월 5일 현재 경산시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내국인 및 외국인(영주권자, 결혼이민자)
    • 지원금액 : 1인당 20만 원씩
    • 지급방법 : 경산사랑카드
    • 사용기한 : 22년 12월 31일까지
    • 신청방법 : 온라인 - 시 홈페이지 또는 경산사랑카드 앱 '그리고', 오프라인 - 읍 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이처럼 지자체 별 추석을 맞으며 재난지원금을 지급하지만 아쉽게도 서울이나 광역시, 경기도 등 여러 곳에서 아직 시행이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러나 앞으로 추석 전까지 지자체별 예산에 따라 지급할 수 있도록 민생대책이 또 발표된다니 고 물가 안전대책으로 정부에서 어떤 대책이 나올지 기대해 볼만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